DevOps 엔지니어
Email. [email protected]
About Me

8년 동안 개발자로 일하며 백엔드 시스템 구축부터 시작해, 자연스럽게 DevOps 영역까지 넓혀 왔습니다.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CI/CD 자동화,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그리고 보안·컴플라이언스 대응까지, 운영 환경 전반을 아우르는 실무 경험을 쌓았습니다.
Terraform, Jenkins, ArgoCD, Istio 같은 도구를 통해 코드 기반의 인프라를 구성하고, NHN Cloud NKS, Azure, 온프레미스 등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고, 사내 세미나를 통해 팀에 DevOps 관련 지식과 표준을 공유하면서, 자동화와 효율화 문화가 정착되도록 힘써 왔습니다. 장애 대응 자동화, 운영 비용 절감, 고가용성 아키텍처 설계 등의 작업을 통해 실제로 팀과 서비스에 도움이 되는 개선도 꾸준히 이끌어 왔습니다.
복잡한 문제를 마주했을 때 꾸준히 파고들어 해결해내는 걸 좋아하고, 운영 자동화를 통해 팀의 안정성과 생산성을 함께 높이는 걸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DevOps 엔지니어로서 계속해서 배우고, 실무에 적용해 나가며 성장하고 싶습니다.
Experience
오케스트로
DevOps 엔지니어
2025.8 ~
전남도청 클라우드 기반 가상화 시스템 제구축 -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어니컴 (IMQA)
https://imqa.io
IMQA DevOps 엔지니어
2021.2 ~ 2024.10
공공기관 Kubernetes(NKS) 인프라 전환 및 최적화
2023.06 ~ 2024.10
- 기존 VM 기반 서비스 환경을 NHN Cloud NKS로 마이그레이션하며 컨테이너 기반 무중단 운영 체계 설계 주도
- Istio(mTLS), ArgoCD(GitOps) 기반의 배포 자동화를 도입하여 팀 내 GitOps 문화를 정착시키고 표준 운영 방식으로 확산
- 보안 그룹 분리, 노드 풀 구성, Helm 기반 템플릿화 등으로 CSAP 인증 요건 충족 및 후속 프로젝트 확장 기반 마련
- Redis 세션 외부화, RabbitMQ 인증 제어와 대시보드 구성으로 무상태 구조 확립 및 운영 신뢰성 강화
- 전환 과정 및 배포 자동화 경험을 세미나를 통해 발표하며 팀 리딩 및 DevOps 문화 확산에 기여
- 기술 스택: NHN Cloud NKS, Kubernetes, Docker, Istio, ArgoCD, Terraform, Helm, Redis, RabbitMQ, RDS for MySQL
Azure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 최적화 및 비용 절감
2023.01 ~ 2023.05
- Azure VMSS, Packer, Compute Gallery 기반의 자동화된 오토스케일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운영 환경에 적용
- Redis, RabbitMQ, Azure Database For MySQL 등 주요 구성 요소를 Terraform으로 IaC화하여 배포 재현성과 운영 안정성 확보
- 리전 분리, 서브넷 세분화 및 보안 그룹 정책 설계로 보안 수준 향상 및 트래픽 분리 효과 확보
- 미사용 자원 정리 및 리소스 최적화를 통해 운영 비용 75% 절감, 장애율 50% 감소 달성
- 모든 구성은 문서화 및 템플릿화하여 사내 표준으로 정착, 후속 프로젝트의 빠른 확산 기반 마련
- 기술 스택: Azure VMSS, Azure Compute Gallery, Packer, Terraform, Redis, RabbitMQ, Azure Database for MySQL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및 자동화 - [블로그]
2022.02 ~ 2022.08
- GitHub Actions → Jenkins → Nexus → Docker/vm 까지 이어지는 멀티스테이지 CI/CD 파이프라인을 설계부터 구축까지 주도
- Node.js, Spring Boot, Docker 등 다양한 기술 스택을 통합 배포 가능한 파이프라인으로 구성하여 배포 시간 50% 단축
- Terraform 및 환경 변수 통합 관리로 배포 재현성 향상, 배포 실패 시 Slack 알림 자동화 및 태그 기반 배포 구조 설계
- 파이프라인 구조를 문서화하여 사내 DevOps 템플릿으로 표준화하고, 관련 내용을 내부 세미나 및 블로그로 전파
- 신규 팀원 온보딩 시 해당 파이프라인 기반 교육을 진행하며 팀 차원의 DevOps 이해도 향상에 기여
- 기술 스택: GitHub Actions, Jenkins Pipeline, Nexus, Docker, Packer, Terraform, Slack Webhook, Node.js, Spring Boot
대형 고객사(은행·보험) 대상 일일 100만 트래픽 처리 아키텍처 설계 및 구축
2021.06 ~ 2022.02
- JMeter 및 자체 Demo Generator를 활용해 실제 운영 환경과 유사한 고부하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병목 구간 반복 분석
- Redis 기반 외부 세션 캐시, RabbitMQ Quorum Queue 기반 안정적 메시징 아키텍처 도입으로 무상태 구조 확립
- 성능 개선 과정은 사내 문서화 및 팀 간 기술 공유를 통해 기술 내재화 및 재사용성 확보
- 설계된 구조는 은행·보험 고객사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금융권 레퍼런스 모델로 활용
- 기술 스택: JMeter, Demo Generator, Redis Sentinel, RabbitMQ Cluster, Quorum Queue, MySQL MHA, Nginx
통합 모니터링 및 APM 시스템 구축 - [블로그]
2021.04 ~ 2021.06
- Prometheus + Grafana 기반 메트릭 수집/시각화 환경 구성 및 Loki + AlertManager 기반 장애 탐지 체계 구축
- OpenTelemetry + Jaeger를 활용한 분산 트레이싱 구조 도입으로 서비스 간 호출 흐름 추적 가능성 확보
- 장애 탐지율 약 70% 개선, 구성 사례는 팀 내 운영 매뉴얼로 문서화하여 가이드로 활용
- 기술 도입 및 운영 경험은 블로그에 상세히 정리하여 외부 공유 및 팀 내 학습 자료로 활용
- 기술 스택: Prometheus, Grafana, Loki, AlertManager, Node Exporter, OpenTelemetry, Jaeger, Slack/Webhook
서비스 자동 복구 및 장애 대응 시스템 구축
2021.02 ~ 2021.04
- Systemd Timer와 Bash Script를 활용하여 1분 단위 헬스 체크 및 자동 재시작 시스템 구현
- 장애 유형별 자동 대응 스크립트화 및 문서화를 통해 개발팀 협업을 체계화
- 평균 복구 시간을 5분 → 1분 미만으로 단축하며 운영 안정성과 대응 속도 개선
- 해당 구조는 온보딩 문서에도 반영되어 DevOps 대응 체계의 내재화 및 지속 가능성 확보에 기여
- 기술 스택: Systemd, Bash Script
역량
DevOps 및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운영
- Terraform, Packer, Azure, NHN Cloud를 활용한 인프라 코드화(IaC) 및 클라우드 기반 오토스케일링 인프라 구축
- VM 기반 서비스를 Kubernetes 기반의 컨테이너 환경으로 전환, Istio + ArgoCD 기반 GitOps 자동화 체계 구축
- Redis, RabbitMQ, RDS 등 주요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보안 강화 (SSL, 인증 제어, 보안 그룹 등)
- CSAP 인증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보안 요건을 충족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및 운영 자동화
- GitHub Actions → Jenkins → Nexus를 연결한 멀티스테이지 CI/CD 파이프라인 구축 경험
- Docker, Node.js, VM 배포까지 아우르는 통합 파이프라인 운영
- 태그 기반 자동 트리거, 실패 시 알림 전송, 이미지 자동 업로드 등 주요 단계를 자동화